테크노의 기원부터 현재까지 - 유명 음반과 장비를 통해 추적한 연대기적 역사
글 : mmr|주제 : 테크노의 10년별 역사적 배경, 대표 명작, 장비의 변화
테크노의 역사는 ‘도시’와 ‘기계’의 관계에서 탄생하고 진화해왔습니다. 아래에서는 시대별 역사적 배경과 대표적인 명작, 장비의 변화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970년대: 태아 운동 - 전자 음악과 디스코가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시대배경
- 신디사이저의 소형화, 대량생산
- 디스코 문화의 성숙
걸작
- Kraftwerk – 유럽 횡단 특급(1977)
- 도나 서머 – “I Feel Love” (1977, prod. Giorgio Moroder)
-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 – 솔리드 스테이트 서바이버(1979)
장비
- 무그/ARP/EMS 모듈러 -롤랜드 CR-78
- 마에스트로 리듬킹
1980년대: 디트로이트의 탄생과 유럽으로의 확산
시대배경
- 디트로이트의 산업도시화와 청년문화
- MIDI의 등장(1983년)과 디지털 장비의 확산
유명 앨범/트랙
- 사이보트론 - ‘클리어’(1983)
- 모델 500 – “UFO는 없다”(1985)
- 리듬은 리듬이다 – “Strings of Life” (1987)
- 이너 시티 – “큰 재미”(1988)
장비
- 롤랜드 TR-808 / TR-909 / TB-303
- SH-101 / Juno-106
- 야마하 DX7 -아카이 S900/S950
- Atari ST + Cubase/노테이터
1990년대: 글로벌 확장 - 영국 베를린, 두 번째 물결
시대배경
-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1989년) Tresor 등이 거점으로 삼음
- 영국의 레이브 문화와 클럽 활동
걸작
- 지하 저항 – X-101/X-102 (1991–)
- Aphex Twin – Selected Ambient Works 85-92 (1992)
- 기본 채널 – BCD(1994)
- 로버트 후드 – 미니멀 네이션(1994)
- Plastikman – 시트 1(1993)
- 제프 밀스 – “The Bells” (1997)
장비 -아카이 S3000/S3200
- E-뮤 ESI/E4
- 엔소닉 ASR-10
- 맥키 1604/8-버스 -롤랜드 JP-8000
- 바이러스에 접근
- ADAT/DAT
2000년대: 미니멀리즘 - 마이크로 하우스와 “박스형”의 시작
시대배경
- PC 제작이 대중화되고 VST가 일반화됨
- 쾰른, 베를린, 칠레 예술가들이 앞장서고 있습니다.
걸작
- 리카르도 빌라로보스 – Alcachofa (2003)
- 모노레이크 – 중력(2008)
- Kompakt – 전체 시리즈(2000년~)
-
리치 호틴 – *DE9 편집에 더 가까이* (2001)
장비
- 에이블톤 라이브(2001~)
- 이유(2000~)
- 네이티브 인스트루먼트 Reaktor / Absynth
- Elektron Machinedrum / 모노머신
- 파이오니어 CDJ(인기기간)
2010년대: 산업/피크타임 복귀와 모듈식 부활
시대배경
- Berghain/Ostgut Ton 중심의 글로벌 표준화
- Bandcamp 직접 판매 및 DIY 출시 가속화
- 유로랙 붐
걸작
- 마르셀 데트만 – Dettmann (2010)
- 오브제크트 – 플랫랜드(2014)
- 헬레나 하우프 – 신중한 욕망(2015)
- 외과의사 – 가장 멀리 알려진 물체에서 (2016)
- 스키 마스크 – 컴프로 (2018)
장비
- Eurorack(변경 가능한 악기, 소음 발생, Intellijel)
- Elektron Octatrack / 아날로그 Rytm
- 롤랜드 AIRA TR-8
- 코르그 볼카 시리즈
- 에이블톤 푸시
2020년대: 하드 그루브의 부활, 하이브리드 라이브 공연, AI 지원 시대
시대배경
- 팬데믹 기간 유통문화 종료 후 현장 복귀
- BPM 가속, 트랜스포머 재평가
- AI를 활용한 제작 및 마스터링 지원
사운드 트렌드
- 강력한 킥과 리프 반복
- 하드 테크노 ~ 슈란츠 컴백
- 트랜스 모티프의 재맥락화
장비
- Elektron Digitakt / 디지톤
- 롤랜드 TR-8S / MC-707
- ASM 히드라신스
- 폴리엔드 트래커 / Dirtywave M8
- 아카이 MPC One/Live II
- AI 마스터링, 줄기 분리 도구
장비의 “주요 변화” 요약
- 1980년대: x0x 계보 – 808/909/303 + 아날로그 모노신스
- 1990년대: 샘플러 시대 – Akai/E-mu + 믹서 + 아웃보드
- 2000년대: 기본 제공 - DAW+VST
- 2010년대: 하이브리드 회귀 – 모듈식 x DAW
- 2020년대: 실시간 + AI 보조 – 줄기 분리/분배 전제
10년마다 듣는 목록
- 1970년대: Kraftwerk – 유럽 횡단 익스프레스
- 1980년대: 모델 500 – “No UFOs”/Rhythim Is Rhythim – “Strings of Life”
- 1990년대: 기본 채널 – BCD/Plastikman – 시트 1
- 2000년대: 빌라로보스 – 알카초파/모놀레이크 – 중력
- 2010년대: Objekt – Flatland/Skee Mask – Compro
- 2020년대: 하드 그루브/트랜스의 신작이 다시 불타오르다
요약
테크노의 핵심은 ‘반복’과 ‘사운드 디자인’이다. x0x에서 직접 유래한 리듬, 샘플러의 사운드 이미지 디자인, PC 시대의 편집 미학, 모듈성의 무작위성, 심지어 AI 지원까지 기계와 도시의 리듬은 시대가 변해도 계속해서 진화합니다.
관련 항목
🔗 [칼럼] Tresor - 베를린 언더그라운드에서 세상을 바꾼 테크노의 성지
🔗 [칼럼] 디트로이트 테크노: 기계의 심장박동이 만들어내는 인간의 춤
이와 비슷한 글
Johan Bacto – Mankind 4
Johan Bacto(Johan Svensson)는 스웨덴의 테크노 프로듀서입니다. 그는 Mankind, Zync, Countdown 2000과 같은 레이블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7 Nov 2025
【コラム】 Underground Resistanceとデトロイトの反逆史:アフロフューチャリズム・Drexciya神話・世界都市比較まで完全網羅
序章:URとデトロイトの物語は、都市の瓦礫から生まれた文明論
15 Nov 2025
Plastikman – Musik
Richie Hawtin (リッチー・ホゥティン)の別名義Plastikman(プラスティックマン)として1994年にレーベルNovaMuteからリリースしたアルバム。Richie Hawtinとしては3枚目、Plastikman名義では2枚目のスタジオアルバムとなる。
26 Oct 2025
Robotman – Do Da Doo (Remixes)
「Robotman – Do Da Doo (Remixes)」は、1994年にリリースされたリッチー・ホーティン(Richie Hawtin)によるプロジェクト「Robotman」のリミックスアルバムです。このアルバムにはいくつかの異なるリミックスが含まれています。
15 Feb 2025
Oxia – Reflexion
GoodLifeの創設者のひとり、フランス人DJ・プロデューサーOxia(オクシア)ことOlivier Raymond(オリヴィエ・レイモンド)によるテクノトラック。
03 Aug 2024
Ricardo vs. Jay – Fenlow
ミニマルテクノ界の重鎮 Ricardo Villalobos(リカルド・ヴィラロボス)とUS出身でドイツを拠点に活動するプロデューサー・DJ Jay Haze(ジェイ・ヘイズ)のハウス・ミニマルトラック。
14 Jun 2024
Marcin Czubala – I Can Make You Dance EP
Marcin Czubalaは、クラシック音楽の経験をバックグラウンドにもつポーランド出身のミニマルテクノDJ・プロデューサー。2007年からは、ベルリンを拠点とするドイツのテクノ/ハウス レーベルMOBILEEのメンバーとしても活動している。
20 May 2024
슈베르트 – 코드팝의 과대광고를 믿지 마세요
라이프치히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일 테크노 프로듀서 Schubert(일명 Matthias Kretzschmar)의 미니멀 테크노 트랙입니다.
29 Apr 2024
Jean-Michel Bernard - 수면의 과학
Björk, The Chemical Brothers, Daft Punk, Radiohead 등의 뮤직비디오 작업에 참여한 Michel Gondry가 각본과 감독을 맡은 영화 ‘Sleep in Love’의 사운드트랙입니다.
29 Ap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