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이상한 뮤지컬 장난감 — 세계 각국의 이상한 소리가 나는 장난감

Column ko 00s 90s History Synth
[칼럼] 이상한 뮤지컬 장난감 — 세계 각국의 이상한 소리가 나는 장난감

전 세계의 “사운드 토이”

텍스트: mmr 주제 : 어린이 장난감부터 예술가의 악기까지 - AI 장난감, 촉각악기, 소셜토이 시대를 향하여

음악과 놀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곳이 있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의 손에 쥐어진 장난감의 전자음이 결국 전문 무대와 예술가들의 창작 도구로 인식되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라델(Radel), 옴니코드(Omnichord), 스타일로폰(Stylophone), 집에서 만든 회로를 변형한 서킷 벤딩(Circuit Bending) 등 기이한 음원은 장난감을 넘어 문화적 실험 장치가 됐다.

이 칼럼에서는 세계 각국의 특이한 음악 장난감을 추적하여 그 역사와 철학, 현대 예술가들의 재해석을 풀어냅니다.


Ⅰ. 소리로 손으로 노는 즐거움

우리는 ‘촉각’이 음악행위의 근원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현을 뽑을 때, 건반을 누르거나 손잡이를 돌릴 때, 손끝에서 반응을 받게 됩니다. 이러한 즉각성은 아이들이 어릴 때 접하는 장난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1세기에는 전자소리가 어린이 장난감, 교육용 기기까지 확대되면서 ‘소리를 내는’ 행위 자체가 놀이의 일부로 디자인됐다. 장난감과 악기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Ⅱ. 아시아의 건전한 장난감 문화

라델 일렉트로닉 탄푸라

1970년대 후반 인도 회사 라델(Radel)이 개발한 전자 타블라(Electronic Tabla)는 전통 라가 연주의 지속되는 소리를 휴대하기 위한 장치이다. 복잡한 현악기를 집에서 쉽게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폭넓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었습니다. 전자 사운드의 단순화는 실제로 새로운 즉흥 연주의 문을 열었습니다. 집 책상 위에 놓인 전자 탄푸라는 배움과 놀이의 경계에서 울려 퍼지는 ‘가정의 의식’이 됐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k2sYalri8oo?si=XlAvOI4CTDOG2yH_”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전자악기의 휴대용 진화

인도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서 전통악기의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소형 시타르, 주머니 크기의 가믈란, 전자 하프 등 어린이도 조작할 수 있는 악기가 등장했습니다. 전자 기술이 만들어내는 사운드의 안정성과 용이성은 연주자의 창의성을 자극합니다.


Ⅲ. 옴니코드 및 그 하위 항목

1978년에 출시된 옴니코드는 독특한 “코드 하프”로 빠르게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게 되었습니다.

  • 키보드와 스트로크 보드를 결합한 독특한 인터페이스
  • 한 손가락만으로 간단한 코드를 쉽게 연주할 수 있습니다.
  • Lo-fi 및 우주 톤

Omnichord는 라이브 공연과 녹음 중에 테크노 팝과 인디 아티스트를 위한 소품 이상의 역할을 해왔습니다. 사운드는 우연과 즉흥성을 환영하는 디자인 철학의 구체화입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AIar0O-yvg?si=gI40JwCWCleSOUQD”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eBE4HK-Q5sk?si=c9RjHorylbIM-d4k”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옴니코드를 사용한 앨범

코넬리우스 - 판타스마(1997)

일본 팝/일렉트로니카. 옴니코드만의 독특한 코드가 곡에 따뜻함을 더해준다.

비요크 – 베스페르틴(2001)

은은한 일렉트로닉 사운드와 아날로그적인 느낌의 융합. 옴니코드의 섬세한 코드 느낌은 내성적인 사운드에 기여합니다.


Ⅴ. 유럽의 이상한 소리 장치

스타일로폰과 옵티건

British Stylophone은 1970년대 TV 광고에서 친숙한 데스크 신디사이저입니다. 손가락 끝으로 금속 접점을 따라가면 특유의 경고음이 울립니다. 그 편안함과 시끄러운 느낌은 초기 테크노팝과 아방가르드 음악에 녹아들었습니다. 옵티건은 광디스크를 이용해 소리를 연주하는 오르간 장난감으로, 예측할 수 없는 패턴과 리듬이 특징이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EL8PH9Fx0hw?si=aRc6EJ8WPVcaAXI9”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스타일로폰을 활용한 앨범

데이비드 보위 – Space Oddity (1969 싱글)

초기 싱글에 사용된 스타일로폰. 우주적이고 미니멀한 톤이 특징입니다.

Aphex Twin – 선정된 주변 작품 85–92(1992)

미니신스와 장난감 같은 일렉트로닉 사운드가 만들어내는 앰비언트 테크노.

교육용 장난감부터 클럽까지

유럽에서는 교육용 전자 장난감이 클럽 문화와 아방가르드 음악에도 활용되었습니다. 책상 위의 간단한 신디사이저가 ‘우연한 소음’을 연주자의 창의성에 불러일으켜 음악적 표현의 폭을 넓혀주었습니다.


Ⅴ. 미국의 DIY 전자제품과 이상한 발명가들

서킷 벤딩은 기존의 전자 장난감과 신디사이저를 변형하여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1970년대 리드 가잘라(Reed Ghazala)에 의해 체계화되었습니다.

  • Casio SA 시리즈 키보드를 열고 회로를 무작위로 연결합니다.
  • 우발적인 단락과 소음으로 인해 새로운 소리가 생성됩니다.
  • “파괴”와 “창조”가 동시에 일어나는 행위

DIY 전자 악기는 육체 노동의 즐거움과 음향적 모험 감각을 결합하여 미국의 차고 문화와 아방가르드 음악에 깊이 뿌리내렸습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6dbHxbN2oJw?si=P4PrpbvKkwmv8tOw”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allow=”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서킷 벤딩 / 개조된 장난감 사용

메르츠보우 – 펄스 데몬(1996)

개조된 전자장비와 소음완구를 구사한 소음실험 작품입니다.


Ⅵ. 일본의 전자완구 황금시대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휴대용 신디사이저와 전자 음악 장난감이 일본 가정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 Yamaha Portasound 시리즈
  • CASIO VL-톤
  • Gakken의 SX-150과 같은 교육용 신디사이저

전자소리는 집이나 학교 책상 위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으며, 아이들은 ‘소리 놀이’ 문화에 익숙해졌습니다. 현대에는 오타마톤과 같은 디지털 장난감이 유튜브 문화와 연결되어 ‘귀여운 소리’의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VKfsCbe47Os?si=djdl5n1qjmiP3Scw”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YGVcXgiqyw?si=4ttjpQeLswDDOef7”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k2AOW3ExwU?si=Fg8NOnu-BJVxfnmF”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Ⅶ. 스칸디나비아 불규칙 미학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작고 고도로 디자인된 신디사이저가 등장했습니다.

  • 십대공학 OP-1
  • 포켓 오퍼레이터 시리즈

단순하고 직관적인 조작성과 만화 같은 톤은 스칸디나비아 유머와 세련미를 결합합니다. 장난감으로서의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전문 예술가들이 사용한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VBwU-d_WDmU?si=D_5-7a06v6wQYoNz”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Zd6d6fsKiA8?si=yhMlbLcKJQE3HZr7”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포켓 오퍼레이터 / 십대 엔지니어링

Four Tet – Rounds (2003)

Pocket Operator와 비슷한 작은 일렉트로닉 음원의 분위기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비트와 멜로디.

Flying Lotus – Cosmogramma (2010)

電子玩具や小型シンセ的なサウンドを組み合わせた複雑なテクスチャ。


Ⅷ. 現代アーティストとトイサウンド

Björk、Cornelius、Bon Iver、Laurie Andersonなど、多くの現代アーティストはライブや録音におもちゃ的楽器を導入している。
低解像度な音や偶然のノイズは、親密さや即興性を演出する道具となり、デジタル全盛時代にあえて“手作り感”を残すことが評価される。


Ⅸ. 未来のトイ・ミュージック

AI玩具や触覚楽器、ソーシャル・トイなど、音楽玩具は新しいインターフェースの実験場として進化を続ける。
“Play”の概念は、再び音楽創作の中心に戻りつつあり、電子音の未来における重要な文化的役割を担っている。


付録

世界のStrange Musical Toys進化史(簡易年表)

flowchart TD A1970["1970:Stylophone発売(英国)"] B1978["1978:Omnichord発売(日本)"] C1979["1979:Radel Electronic Tanpura登場(インド)"] D1980["1980:CASIO VL-TONE発売(日本)"] E1990["1990:Circuit Bending概念確立(米国)"] F2007["2007:Teenage Engineering OP-1発売(スウェーデン)"] G2010["2010:Pocket Operatorシリーズ(スウェーデン)"] H2020["2020:AI玩具音楽デバイス登場"] A1970 --> B1978 --> C1979 --> D1980 --> E1990 --> F2007 --> G2010 --> H2020

Amazon リンク

Omnichord

Radel Electronic Tanpura

Stylophoneシリーズ

Pocket Operator


Strange Musical Toys おすすめアルバム・本

アルバム名 アーティスト 発売年 使用デバイス / 特徴 リンク
Fantasma Cornelius 1997 Omnichordの和音を中心にしたポップ/エレクトロニカ Amazon
Vespertine Björk 2001 Omnichordによる繊細なコード感、微細電子音 Amazon
Space Oddity David Bowie 1969 Stylophone使用、宇宙的ミニマル音色 Amazon
Selected Ambient Works 85–92 Aphex Twin 1992 Stylophoneなど玩具的電子音でアンビエント/テクノ Amazon
Rounds Four Tet 2003 Pocket Operator風ミニシンセ的電子音 Amazon
Cosmogramma Flying Lotus 2010 小型シンセ/電子玩具音を組み合わせた複雑テクスチャ Amazon
Circuit-Bent Explorations Reed Ghazala 2005 Circuit Bendingの書籍 Amazon
Pulse Demon Merzbow 1996 改造電子玩具・ノイズ中心の実験音楽 Amazon
Solar Gambling Omar Rodríguez-López 2010 ミニシンセ、玩具的電子音の前衛ギター Amazon
Big Science Laurie Anderson 1982 Stylophoneや簡易シンセを用いた音楽/パフォーマンス実験 Amazon
Monumental Movement Records

Monumental Movement Records

中古レコード・CD・カセットテープ・書籍な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