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90년대 유로음악은 무엇이었나? ──댄스 플로어와 멜로디의 향연

Column ko 90s Euro
[칼럼] 90년대 유로음악은 무엇이었나? ──댄스 플로어와 멜로디의 향연

90년대 유로음악은 어땠나요? ──댄스 플로어와 멜로디의 향연

글 : mmr|주제 : 90년대 유럽음악문화의 전모

<시간> ### 유로라는 음악의 정체는 무엇일까? 1990년대 '유로음악'은 특정 장르라기보다는 유럽 대륙을 중심으로 발전한 대중적인 댄스팝 음악의 총칭이었다. 이들 중 가장 아이코닉한 것이 '유로비트', '유로댄스'였지만, 유로트랜스, 하이에너지, 신스팝 등 다른 장르도 동시에 런칭했다. 즉, 1990년대 유로는 파티 문화와 댄스 음악, 캐치한 멜로디, 테크놀로지가 융합된 '현대 유럽의 팝 이미지'였다. <시간> ### 주요 장르 분류 및 특징
ジャンル 特徴 代表アーティスト
ユーロダンス 4つ打ちビート、ラップ+女性ボーカル、派手なメロ 2 Unlimited / La Bouche
ユーロビート 高速BPM、シンセ主体、主にイタリア制作、日本で人気 Dave Rodgers / Domino
ユーロトランス トランスの簡略版、メロディアス、ポップ寄り DJ Quicksilver / Sash!
ハイエナジー ゲイクラブ起源、派手なビート、1980年代末から継続 Patrick Cowley / Hazell Dean
Italo Dance イタリア発のダンスポップ、Eurodanceとの融合形 Eiffel 65 / Prezioso
ユーロポップ ポップス主軸、R&Bやラテンの要素も導入 Ace of Base / Roxette
<시간> ### 냉전 이후 유럽과 팝의 공통 언어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 유럽은 급속히 국경을 넘는 엔터테인먼트 시장으로 변모했습니다. '영어로 부르는 유로팝'은 비영어권 국가(독일,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웨덴 등)에서도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이는 유로뮤직이 정치적 경계보다 감각적 즐거움을 우선시하는 음악문화임을 의미한다. 리듬, 신디사이저, 단순하고 반복 가능한 코러스. 이들은 언어와 국경을 초월하는 '공통언어'가 됐다. <시간> ### 주류 성공 사례(1990-1999) ● [2 Unlimited – “Get Ready For This”(1991)](https://amzn.to/4mXEgCl) 네덜란드 출신. "유로댄스 성가"는 스포츠 경기장이나 광고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ZINQTPMDa_E?si=zg68GXFpICC1TM9y"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 ● [에이스 오브 베이스 – “The Sign”(1993)](https://amzn.to/4mXEhGp) 스웨덴 팝 그룹. 100년 동안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습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GEOqRFrfdo?si=q4MhY2Eic69tqIuf"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 ● [코로나 – “Rhythm of the Night” (1994)](https://amzn.to/3KFlcLU) 이탈리아에서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라틴 아메리카 시장에서도 히트를 쳤으며 Eurodance의 다재다능함을 보여주었습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wPkWV9ObwY?si=cg8-QZly--T47h0V"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PIP(Picture-in-Picture);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 ● [Eiffel 65 – “Blue (Da Ba Dee)” (1999)](https://amzn.to/4n89ruR) 이탈로 댄스(Italo Dance)의 걸작. 디지털 보이스와 멜로디의 융합.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vpsPy5Csquk?si=fjzQGZSXJeU4Ofu6" title="YouTube 비디오 플레이어"frameborder="0" allowed="가속도계; 자동 재생; 클립보드 쓰기; 암호화된 미디어; 자이로스코프; 사진 속 사진; 웹 공유"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allowfullscreen></iframe> --- ### 90년대 사운드 배급 **● CD 맥시 싱글 컬처** 한 곡에 여러 개의 리믹스와 B-side가 포함되어 있어 클럽과 홈 모두에 적합합니다. **●MTV 유럽** 영상과 음악을 세트로 판매하는 '시각적 댄스 문화'의 거점. **● 슈퍼 유로비트(일본)** Avex가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시리즈입니다. 이니셜D 문화와도 연결됩니다. **●유럽에서 생산되어 일본에서 유통되는 역수입 디스크** 이탈리아, 독일 제작, 일본 기획, 국내 CD (예: MAHARAJA NIGHT) <시간> ### 일본의 90년대 유로화 수용 **Eurobeat**: avex가 자체 개발 | 오스 뮤탄테스 | 열대지방: Panis et Circencis | 1968 | [아마존](https://amzn.to/46LWn9K) | - 이니셜D와 파라파라 문화의 핵심이다. **유로댄스**: Disco-J-Pop 하이브리드 - MAX, V6 등 일본 그룹들이 커버를 많이 냈는데요. **시각문화와의 융합**: 비서구 유럽 문화 - 애니메이션 OP, 게임 BGM에도 접목되어 '비서구 유럽 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시간> ### 비평가들은 왜 이를 무시했나요? ──"가벼움"과 "안티아트" 유로 음악은 오랫동안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순한 구조, 얕은 가사(종종 무의미함) - 대량생산/익명성(특정 아티스트의 존재감이 약함) - 상업적 성공 = 예술성 무시 그러나 한편으로는 음악이 누구에게나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도 한다. <시간> ### 재평가와 부흥: 2020년대와 그 이후의 상황 최근 몇 년 동안 Euromusic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재평가되었습니다. - 하이퍼팝과 Y2K 사운드의 원조인 유로댄스 - 클럽 현장에서의 90년대 복귀(유로댄스 이후) - 시티팝처럼 일본의 유로비트도 인터넷 세대에 의해 재발견됐다. 또한 90년대 Euro는 Spotify와 YouTube에서의 재생이 늘어나 새로운 청중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시간> ### 유로음악은 '국경 없는 즐거움'이었다 1990년대 유로음악은 가사나 정치가 아닌 춤과 쾌락, 멜로디를 국제언어로 바꾸는 현상이었다. 그 가벼움은 장르의 경계와 가치관을 뛰어넘는 무기가 됐다. 이제 다시 한 번 유로의 '순진한 열기'는 장르와 세대를 초월한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당신에게 그것은 향수인가 새로움인가? <시간> <시간> ### 목록
アーティスト タイトル 形式 年代/特徴
Rednex Cotton Eye Joe 12″ スウェーデン産ユーロハウス/シンセポップ
Masterboy Different Dreams CD 1994 ドイツ・ユーロダンス名盤
VA Maharaja Top 20 Vol.III CD 90s 非売品コンピ
Various Overnight Remixes II Vinyl 90s 名トラック集コンピ
MDC‑X‑Static You And Me Vinyl 90s クラブヒット EP
Ziggy No Police (Aztec Remix) Vinyl 90s ユーロビート/Hi‑NRG レア盤
Dr. Baker Kaos Vinyl 1990 UKリリース・Euro House
Tam Arrow One Shot Girl Vinyl 2001年イタリア製 Euro Beat EP
Dao Dezi La Jument De Mishao 12″ ’94年深いユーロハウス系リリース
E‑Rotic Sexual Madness CD 1997 ヒット「Turn Me On」収録
E‑Rotic Willy Use A Billy... Boy Vinyl 90s 定番シングル
Monumental Movement Records

Monumental Movement Records

中古レコード・CD・カセットテープ・書籍など